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개발 지원 기업지원 수시모집 공고
- 작성자 : 김도경
- 작성일 : 2023-05-23
- 조회 : 2067
산업통상자원부, 충청남도 지원사업입니다. 충남테크노파크-공고 제2023-46호
-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부품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-
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개발 지원 기업지원 수시모집 공고
(재)충남테크노파크는 지역의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산업 강화와 업종 다각화 및 전환 기회 제공을 위하여 한국생산기술연구원, 한국과학기술연구원,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시험·평가 지원, 시제품 제작, 기술지도 및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.
2023년 5월 24일
(재)충남테크노파크 원장
ㅇ 사업명 :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부품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사업
ㅇ 공고명 :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부품 개발지원 기업지원 모집 공고
ㅇ 공고 및 접수기간
- 공고 및 접수 : 2023. 05. 24. ~ 완료 시 까지(수시접수)
ㅇ 모집대상 : 수전해 부품 제조 관련 중소·중견기업 또는 관심기업
※ 철강, 비철금속, 조립금속, 일반기계, 자동차 등 그린수소 생산 소재/부품/장치 전후방 산업 영위기업 또는 관심 기업
ㅇ 지원요약 : 4분야 44건
ㅇ 지원분야
□ 세부지원내용
① 시험·평가지원 : 보유 장비를 활용한 시험/검사/인증지원
◦ (충남테크노파크)
◦ (한국생산기술연구원)
◦ (한국과학기술연구원)
② 시제품 제작 지원 : 旣 보유 소재 제조 및 부품 성형 장비로부터 PEM 수전해 핵심부품인 GDL에 대한 시제품 제작 지원
◦ 가스확산층, 바이폴라플레이트 등 수전해기 고가 소재 제조 및 부품 성형을 위한 맞춤형 기술지도, 기술컨설팅 및 시제품에 대한 해석 지원
◦ 제조/성형/소재 가공 장비 기반 시제품 제작 지원 및 관련 기술지도, 컨설팅
◦ 시제품 제작 및 기술 컨설팅 연계를 통하여 기업의 생산 자립도 증대 및 기술 역량 강화 지원
※ 상기 표는 단순 예시사항이며 기업지원 수요 및 기술자의컨설팅 분야에 따라 시제품 제작지원 범위가 바뀔 수 있음
③ 기술 지도 지원 : 시험편 제조 및 부품단위의 애로기술에 대한 결과물 회신 및 고충처리 서비스 제공 등 기술지원
◦ (충남테크노파크)
- PEM수전해 기술개발 동향 기반 기술개발 전략 컨설팅(기술지도)
- 해당 분야의 외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개발 기술 또는 수전해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 기술지도 지원
※외부 전문가(개인 또는 기업) 매칭 필수, 컨설팅 수행기준, 결과보고서 및 컨설팅 수행 시 산출물 등은 지원 기관에서 정한 기준 및 서식 등을 준수해야 함
- 기술지도·컨설팅 소요 비용 지원(최대 300만원, 산출근거 필수)
◦ (한국과학기술연구원)
- KIST 보유 장비를 이용한 수요기업 소재/부품 기술의 분석 프로토콜 확립 지원
- 그린수소 생산 관련 전문 지식 및 실무 컨설팅, KIST 내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소재/부품 기술 분석 등 지원
- 수요기업의 소재/부품 기술 상품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선 방향 및 제품 개발 방향 제안
④ 전문인력양성지원 : 중소기업의 산업 이해와 기업 자체 장비활용, 충남 내 새로운 산업 가치사슬 창출을 위한 장비활용 및 운영 전문가 교육, 인증 및 평가 절차 관련 교육 등 구축장비 중심의 전문 인력 양성 교육 지원
◦ 교육 시수 : 8시간 ~ 24시간 과정
※교육 과정 구성 및 수요에 따라 수요기업-교육기관 간 조정·협의 필요
◦ 교육 구성 : 소규모 오프라인 교육으로 구성
◦ 교육 수강 인원 : 최소 5명 이상
◦ 교육과정 커리큘럼(안)
※ 상기 커리큘럼은 지원기관 또는 수혜기업의 요구에 의해 변동될 수 있음
◦ 선정평가위원회는 외부전문가 3인 내외로 구성하며, 평가항목 및 배점기준에 의거 서면으로 평가를 진행하고, 평점 70점 이상인 지원 프로그램을 선정
◦ 프로그램별 신청건수가 선정건수보다 많은 경우 고득점 순으로 선정
◦ 우대사항
- 충남 소재 중소·중견기업(3점)
- 당진 소재 중소·중견기업(5점)
- 평가위원회 평가 시 상기 가점기준에 따라 가점을 합산하되, 총 5점을 초과할 수 없음
◦ 지원절차
※ 추진일정은 신청 규모, 사업 사정 등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
◦ 제출서류
- 서식1. 기업지원 프로그램 지원신청서
- 서식2. 기업지원 프로그램 수행계획서(첨부자료 제출 가능)
- 서식3.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 및 실무담당자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
- 서식4. 개인(기업)정보 수집·이용 및 제3자 제공동의서
- 사업자등록증 사본
- 최근 2년 재무제표
- 우대사항 및 기타 증빙 자료(선택사항)
◦ 접수 방법 및 문의처
- 이메일을 통한 신청서류 제출(직인 날인 후 pdf 파일 제출)
- 접수처 : 이메일 접수 (dodary76@ctp.or.kr)
- 문의처
-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부품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-
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개발 지원 기업지원 수시모집 공고
(재)충남테크노파크는 지역의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산업 강화와 업종 다각화 및 전환 기회 제공을 위하여 한국생산기술연구원, 한국과학기술연구원,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시험·평가 지원, 시제품 제작, 기술지도 및 전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.
2023년 5월 24일
(재)충남테크노파크 원장
1 | 모집개요 |
ㅇ 사업명 :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부품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사업
ㅇ 공고명 :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부품 개발지원 기업지원 모집 공고
ㅇ 공고 및 접수기간
- 공고 및 접수 : 2023. 05. 24. ~ 완료 시 까지(수시접수)
ㅇ 모집대상 : 수전해 부품 제조 관련 중소·중견기업 또는 관심기업
※ 철강, 비철금속, 조립금속, 일반기계, 자동차 등 그린수소 생산 소재/부품/장치 전후방 산업 영위기업 또는 관심 기업
ㅇ 지원요약 : 4분야 44건
구분 | 지원분야 | 충남 테크노파크 | 한국생산 기술연구원 | 한국과학 기술연구원 |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| 계 | 비고 |
기술 지원 | 시험·평가지원 | 7건 | 3건 | 24건 | - | 34건 | |
시제품 제작 지원 | 1건 | 1건 | - | - | 2건 | ||
기술지도 | 4건 | - | 3건 | - | 7건 | ||
인력양성 | 전문인력양성 | - | - | - | 1건 | 1건 | 5명 |
합계 | 12건 | 4건 | 27건 | 1건 | 44건 |
2 | 지원내용 |
ㅇ 지원분야
지원 프로그램 | 세부 내용 | 지원금액 (천원) | 수행기관 | 비고 |
시험· 평가지원 | o 시험ㆍ분석 및 신뢰성 평가 지원 - 세부지원내용(시험ㆍ평가장비 리스트) 참조 | 직접 지원 | 충남TP, 생기원, 과기원 | |
시제품 제작지원 | o 고내구성 내수소취성 특성 보유 신합금 분말 재료 설계 o 가스 확산층 국산화를 위한 설계된 합금 분말 제조 o 기타 PEM 수전해기용 GDL 시제품 제작 및 분석·평가 등 | 직접 지원 | 충남TP, 생기원 | |
기술지도 | o PEM수전해 부품개발 전환 및 기업 R&D 기술지도 컨설팅 o 전문가 활용 PEM수전해 기술지도 | 기업당 최대 3,000천원 | 충남TP | |
o 개발 기술의 PEM수전해 셀 적용성 평가 및 검증 o 시험 평가 분석을 통한 상품성 향상을 위한 기술지도 o PEM 수전해 부품 개발전략 컨설팅 | 직접 지원 | 과기원 | ||
인력양성 | o 장비 적합성 교육, 장비 운영 전문가교육 o 인증평가 절차 관련 교육, 업종전환 인력양성 교육 | 직접 지원 |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|
□ 세부지원내용
① 시험·평가지원 : 보유 장비를 활용한 시험/검사/인증지원
◦ (충남테크노파크)
No. | 연구시설·장비명 | 활용분야 |
1 | 연료전지용 스택 열화평가 장비 | 수소 연료전지 스택 및 스택 구성 부품의 열적 특성 평가 |
2 | 연료전지 스택 복합환경 평가 장비 | 수소 연료전지 스택 및 부품의 3차원 진동 내구, 온습도에 대한 환경 시험 평가 |
3 | 연료전지용 가스켓 평가 장비 | 고분자 가스켓의 압축 줄음률, 응력완화 거동, 분리판 가스켓의 기밀 시험 등 |
4 | 연료전지용 분리판 물성평가 장비 | 스택분리판의 접촉저항, 부식성, 유로높이, 크랙 등 특성 평가 |
5 | 연료전지 운전장치 부품 내 환경 항온, 항습챔버 | 온도·습도 변화를 이용하여 제품(수소, 전기차 부품, 연료전지(SOFC, DMFC), 반도체 분야 등)의 내열성, 내한성, 내습성 등 시험 |
◦ (한국생산기술연구원)
No. | 연구시설·장비명 | 활용분야 |
1 | 고압산소열처리로 | 고압 산소 분위기에서 산화물 재료의 결함 제거 및 금속 내부산화연구 활용 |
2 | 가스아토마이저 | 급속 응고를 활용한 합금 분말 제조 |
3 | 진공열처리로 | 진공증류, 가스열처리, 진공열처리, 가스환원, 소량용해 등 다양한 가열처리 |
4 | 디스크 그라인더 | 브리넬 경도 및 로크웰 경도 측정을 위한 시험편 표면 연마기 |
5 | Automatic Pulse Cutter | 조직 시편 절단 |
6 |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우 | 시료의 단면에서 정보를 얻기 위해 단면 정밀 절삭 |
7 | 저속정밀절단장치 | 재료(금속, 세라믹 등)에 손상을 최소화하여 시현 전처리 |
9 | 고속정밀절단장치 | 강성이 큰 재료를 가공 시 단시간에 컷팅 |
10 | 핫마운팅기 | 단시간에 시편 마운팅 |
11 | 자동연마기 | 다양한 재료 연마 미세조직의 관찰용 연마 단시간에 많은 시편의 연마 |
12 | 만능재료 시험기 | 각종 소재의 상온 고온 인장실험 |
13 | 브리넬경도시험기 | 브리넬 경도 시험 |
14 | 로그웰 경도 시험기 | 로크웰 경도 측정 |
15 | 비커스 경도 측정 | 비커스 경도 측정 |
16 | 항온항습기 | 시편의 온습도에 따른 시험 |
17 | 디지털광학현미경 | 시편의 마이크로 조직 관찰 |
18 | Scaning Electron Microscope + EDS | 표면처리층의 표면 및 단면 관찰 및 정량분석 |
19 | 표면거칠기측정장치 | 피측정면에 수직으로 움직이는 촉침으로 피측정면의 표면을 긁어서 상하의 움직임 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, 증폭시켜 그래프에 그리거나 neter에 값을 지시하거나 기록하여 표면 거칠기 측정 |
20 | 전계방사형 투과전자현미경 | 금속 시료의 영상 및 내부 구조를 관찰하는 투과전자현미경의 한 종류- 금속과 같은 미세 부피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 성분 및 그 이미지 조성관계를 정확하고 빠른 속도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EDS(Energy Dispersive X-ray Spectroscopy)가 장착되어 있음. |
21 | 비표면적분석기 | 다공성 물질의 대표적인 활성탄, 제오라이트와 같은 흡착제와 각종 세라믹 분말 또는 벌크등의 비표면적, 기공 특성 측정 |
22 | 직류 자화 특성 측정 기록 장치 | 비자성장, 저손실 CORE, 고투자율 자성재료 측정 |
23 | X선 형광분석기 | 무기물, 금속등의 정성ㆍ정량 분석 |
24 | X선 회절분석기 | 결정성 금속 소재의 정성, 질량 분석에 활용 |
25 | 탄소/황 분석기 | 소재의 탄소, 황 함량 고정밀 분석에 활용 |
26 | N/O 가스분석기 | 철강, 비철금속, Ceramic, 신소재 등 무기 물질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산소와 질소의 함량을 ppm 단위까지 측정 |
27 | 열기계분석기 | TMA는 시료의 팽창과 수축에 의한 크기 변화를 측정 |
28 | EPMA(Electron Probe Micro Analyzer) | 금속 성분 분석 |
29 | 마이크로 입도 분석기 | 마이크로단위에서 수십 나노 단위 분말 분석 |
30 | 고온 열분석기 | 온도에 따른 재료 물리적, 화학적 변화 분석 |
◦ (한국과학기술연구원)
No. | 연구시설·장비명 | 활용분야 |
1 | 단위전지 실험장치 | 단위전지실험 |
2 | Potentiostat/Galvanostat | 전극평가 및 부식실험 |
3 | Gas analyzer | 유출입 가스 분석 |
4 | Porosimeter | 전극 기공측정 |
5 | BET | 촉매 표면적측정 |
6 | Constant current source | 수전해 전기부하 |
7 | Impedance analyzer | 전기저항 분석장치 |
8 | Temperature controller | 온도 제어 장치 |
9 | Data acquisition system | 수전해 성능 측정 |
10 | 환경 조절 FE-SEM | 표면 코팅 없이 절연재로 관찰 가능, 반도체 및 전자 소재의 표면 분석용 |
11 | X-선 회절 분석 장치(XRD) | 박막 두께, 박막밀도, 박막 내 잔류응력 측정, 온도변화에 따른 결정상 변화 분석 가능 |
12 | X선 광전자 분광 장비 (XPS-ECSA) | 무기소재 및 유기소재 재료의 표면 분석, 시료의 화학적 결합상태 및 정성적 조성분석, 불순물 검사 등 |
13 | Raman FT-IR 결합형 분광 장비 | 화학 반응물 확인 및 오염물질 분석, 온도에 따른 물질의 변화 정보 분석,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결합상태 분석 |
14 | 질소물리흡착기 | 탄소소재표면적 및 기공분석 |
② 시제품 제작 지원 : 旣 보유 소재 제조 및 부품 성형 장비로부터 PEM 수전해 핵심부품인 GDL에 대한 시제품 제작 지원
◦ 가스확산층, 바이폴라플레이트 등 수전해기 고가 소재 제조 및 부품 성형을 위한 맞춤형 기술지도, 기술컨설팅 및 시제품에 대한 해석 지원
◦ 제조/성형/소재 가공 장비 기반 시제품 제작 지원 및 관련 기술지도, 컨설팅
◦ 시제품 제작 및 기술 컨설팅 연계를 통하여 기업의 생산 자립도 증대 및 기술 역량 강화 지원
No. | 시제품 구분 | 세부 내용 |
1 | 가스확산층 국산화를 위한 설계된 합금 분말 제조 | Ti계열 합금(예: Ti64 등) 합금 설계 및 가스 아토마이저 공법을 통한 금속분말 제조 |
2 | 3D 프린팅을 활용한 바이폴라플레이트 혹은 가스확산층 시제품 제조 | Ti계열 합금(예: Ti64 등) 분말을 적용하여, PBF 혹은 DED용 3D 프린팅 장비를 통한 바이폴라플에이트 혹은 가스확산층 시제품 제조 |
3 | 기타 수전해 부품 관련 시제품 | 상기 시제품에 해당되지않지만 수전해 부품 설계/개발을 위해 필요한 시제품 (충남TP 및 한국생산기술원 담당자와 사전 협의 필요) |
※ 상기 표는 단순 예시사항이며 기업지원 수요 및 기술자의컨설팅 분야에 따라 시제품 제작지원 범위가 바뀔 수 있음
③ 기술 지도 지원 : 시험편 제조 및 부품단위의 애로기술에 대한 결과물 회신 및 고충처리 서비스 제공 등 기술지원
◦ (충남테크노파크)
- PEM수전해 기술개발 동향 기반 기술개발 전략 컨설팅(기술지도)
- 해당 분야의 외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부품 개발 기술 또는 수전해 사업 추진을 위한 전략 기술지도 지원
※외부 전문가(개인 또는 기업) 매칭 필수, 컨설팅 수행기준, 결과보고서 및 컨설팅 수행 시 산출물 등은 지원 기관에서 정한 기준 및 서식 등을 준수해야 함
- 기술지도·컨설팅 소요 비용 지원(최대 300만원, 산출근거 필수)
◦ (한국과학기술연구원)
- KIST 보유 장비를 이용한 수요기업 소재/부품 기술의 분석 프로토콜 확립 지원
- 그린수소 생산 관련 전문 지식 및 실무 컨설팅, KIST 내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소재/부품 기술 분석 등 지원
- 수요기업의 소재/부품 기술 상품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선 방향 및 제품 개발 방향 제안
④ 전문인력양성지원 : 중소기업의 산업 이해와 기업 자체 장비활용, 충남 내 새로운 산업 가치사슬 창출을 위한 장비활용 및 운영 전문가 교육, 인증 및 평가 절차 관련 교육 등 구축장비 중심의 전문 인력 양성 교육 지원
◦ 교육 시수 : 8시간 ~ 24시간 과정
※교육 과정 구성 및 수요에 따라 수요기업-교육기관 간 조정·협의 필요
◦ 교육 구성 : 소규모 오프라인 교육으로 구성
◦ 교육 수강 인원 : 최소 5명 이상
◦ 교육과정 커리큘럼(안)
No. | 교육과정 | 세부 내용 |
1 | 수소에너지 입문 | - 수소의 성질, 에너지 정의, 신재생 에너지 - 수소에너지 산업 생태계, 현황, 산업 정책 및 기술 동향 - 수소에너지 생산/저장, 부생수소 |
2 | 수소에너지 관리 | - 국내외 수소 경제 추진 전략 - 수소안전관리 정책 - 수소기술 국제 표준 동향 - 수소인프라 위험성 평가 |
3 | 수전해시스템 기초와 이해 | - 탄소 중립과 그린 수소 기술 -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용 수소 발생 전극 -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용 산소 발생 전기 촉매 - 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용 양이온 전해질막 |
4 | 수전해시스템 응용 | - 기존/신규 설비를 활용한 소재/부품별 평가 - 공정/측정 설비에 대한 운용 노하우 |
5 | 기타 | - 신청 기업이 필요한 그린수소/수전해 산업 관련 분야 ※ 신청단계에서 교육기관과 협의 필요 |
※ 상기 커리큘럼은 지원기관 또는 수혜기업의 요구에 의해 변동될 수 있음
3 | 평가방법 및 추진절차 |
◦ 선정평가위원회는 외부전문가 3인 내외로 구성하며, 평가항목 및 배점기준에 의거 서면으로 평가를 진행하고, 평점 70점 이상인 지원 프로그램을 선정
◦ 프로그램별 신청건수가 선정건수보다 많은 경우 고득점 순으로 선정
항 목(배점) | 내 용 |
사업추진 타당성 (40) | · 그린수소 수전해 산업과의 연관성 · 사업 추진 목적 및 목표의 타당성 · 사업 추진을 위한 기업 역량 |
제안기술의 우수성 (20) | · 제안기술의 혁신성, 융합성, 차별성 등 · 공급자의 사업 수행 역량 |
시장성 (10) | · 국내/외 시장규모 등 시장의 성장성 및 확대 가능성 |
사업비 적정성 (10) | · 지원 사업비의 적정성 및 집행 계획의 구체성 |
기대효과 (20) | · 매출의 증대, 고용의 창출 및 산업파급 효과 등 |
◦ 우대사항
- 충남 소재 중소·중견기업(3점)
- 당진 소재 중소·중견기업(5점)
- 평가위원회 평가 시 상기 가점기준에 따라 가점을 합산하되, 총 5점을 초과할 수 없음
◦ 지원절차
단 계 | 내 용 | 비 고 | ||
공고/접수 (5.24 ~ 완료시) | ∙ 지원사업 공고 ∙ 관련 양식에 의거 오프라인 신청 및 접수(수시) | 신청기업 ➔ 수행기관 | ||
| ||||
유사·중복성 검토 | ∙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유사·중복성 검토 ∙ 내부 및 외부 지원 기관 대상 | 수행기관 | ||
| ||||
선정평가/결과통보 | ∙ 신청 프로그램 서면평가 ∙ 지원대상 선정, 사업비(지원금 확정), 선정결과 통보 | 선정평가 위원회 | ||
| ||||
협약체결 | ∙ 선정 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사전 협약체결 | 수행기관 ➔ 수혜기업 | ||
| ||||
사업수행 | ∙ 협약 프로그램 내용에 의거, 사업수행 | 수혜기업 및 공급처 | ||
| ||||
중간점검 | ∙ 진행상황 및 진도 점검 ∙ 지원 프로그램 추진 애로사항 등 청취 | 수행기관 ➔ 수혜기업 | ||
| ||||
완료/결과보고 | ∙ 사업수행 완료 및 결과보고서 제출 | 수혜기업 ➔ 수행기관 | ||
| ||||
완료평가/결과통보 | ∙ 지원 프로그램 결과보고서 서면 완료평가 | 완료평가위원회 | ||
| ||||
기업지원금 지급 | ∙ 완료 평가에 결과에 따른 기업 지원금 지급 | 수행기관 ➔ 수혜기업 | ||
| ||||
성과/만족도 조사 | ∙ 고용, 매출 등 발생 성과조사 ∙ 수혜기업 대상 만족도 조사 | 수행기관 |
※ 추진일정은 신청 규모, 사업 사정 등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음
4 | 제출서류 및 문의처 |
◦ 제출서류
- 서식1. 기업지원 프로그램 지원신청서
- 서식2. 기업지원 프로그램 수행계획서(첨부자료 제출 가능)
- 서식3. 대표의 참여의사 확인 및 실무담당자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
- 서식4. 개인(기업)정보 수집·이용 및 제3자 제공동의서
- 사업자등록증 사본
- 최근 2년 재무제표
- 우대사항 및 기타 증빙 자료(선택사항)
◦ 접수 방법 및 문의처
- 이메일을 통한 신청서류 제출(직인 날인 후 pdf 파일 제출)
- 접수처 : 이메일 접수 (dodary76@ctp.or.kr)
- 문의처
구분 | 수행기관명 | 담당자 | 연락처 | |
지원서접수/시험평가 기술지도·시제품제작 | 충남테크노파크 자동차센터 | 김도경 차장 | 041-331-8012 | dodary76@ctp.or.kr |
시험평가·시제품제작 | 한국생산기술연구원 | 조인희 선임 | 032-226-1363 | cdcih@kitech.re.kr |
시험평가·기술지도 | 한국과학기술연구원 | 박희영 선임 | 02-958-5282 | parkhy@kist.re.kr |
전문인력양성 |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| 서동철 교수 | 041-540-5756 | dcsuh@hoseo.edu |